5월 지방선거를 앞둔
한나라당 공천 방식이 '현역'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보도에 의하면
"한 공천심사위원이 여론조사결과 후보들간 인지도와 지지도등에서 15%이상 차이가 날 경우 후보경선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 것.
즉 여론조사 결과 큰 폭의 차이를 보이면 전략공천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주장 이유로 후보 경선을 할 경우 그에 따른
각종 부작용과 후유증으로 본선 경쟁력 약화와 당원간 편가르기 등 갈등이 내년 대선까지 이어질수 있어 그르칠수 있음을 꼽고 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헌법에도 명시된 '기회균등의 원칙'에도 반하는 반 민주적인 것이라는 지적이 다.
'반
민주적' '반 헌법적' 방식 비난 최근 공직을 퇴직하고 시장 출마를 선언한 모씨는 "현역 시장은 지난 4년간 크고 작은 동네
행사마다 참석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펼쳤으며, 언론에도 거의 매일 보도 되어온 점을 감안할 때 여론조사를 통해 경선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은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고 분개했다.
그에 따르면 한나라당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여론조사 공천 방식은 "정치신인은 아예 꿈도 꾸지
말라는 말과 다를 게 뭐가 있느냐"는 것이다.
이에 한나라당 경남도당 김효열 사무부처장은 "아직까지 결정된 것은 아니다"면서
"그래도 현역에게 15% 프리미엄 적용은 많이 해준 것"이라고 반박했다. 즉, 현역은 15% 손해보고, 신인은 15% 이익을 본다는 것이다.
그러나 경남도내 현역 단체장이나 광역의원들 대부분이 한나라당 소속인 점을 감안할 때, 현역과 신인에게 적용되는 프리미엄 15%
증감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견해가 팽배하다.
실제 도내 한 자치단체의 간부를 지내다 시장 출마를 위해 최근 사퇴한 모씨의 인지도와
지지도를 보면 한 자리수인 반면 현역 단체장은 30%대를 웃도는 실정이다.
현역을 제외한 공천신청자들은 "여론조사 결과 3배수에
오른 인사에 대해 반드시 경선을 통해 후보자를 결정해야 한다"면서 '여론조사를 통해 전략공천을 한다면 반민주적이고 반 헌법적인 행태로 내년
대선에서의 집권은 생각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력 경고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강삼재 전 의원도 23일
"한나라당 도당이 공천권을 독주 전횡해선 안될 것이며, 권한을 절제하고 지역구의 민심과 당원들의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언골유중 발언으로 김학송 도당 위원장을 견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