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산시의 공짜 취재 여행 제공은 '뇌물'

기무기1 2006. 2. 14. 18:31
728x90
마산시의 공짜 취재 여행 제공은 '뇌물'
경남민언련, 공짜 취재 여행 참가 두 신문사 각성 촉구

▲ 황철곤 시장이 일본 방재시설 관계자로부터 시설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경남도민일보 홈페이지 캡처사진.)

 관련기사
주객이 전도된 마산시의 '일본 방재 시설 시찰'

수년전 자취를 감추었던 관공서 출입기자들의 공짜 취재 여행 관행이 한 자치단체에서 부활하자 시민단체가 맹비난을 하고 나섰다.

경남민언련(공동대표 김애리 강창덕)은 마산시가 일본 방재 시설 견학에 기자 2명을 공짜로 동행시킨 본지의 보도(10일자 인터넷 판)에 대해 14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언론인들의 무분별한 공짜 해외연수 동행은 기관과의 유착을 심화시키는 또 다른 성격의 '뇌물'로 규정한다"고 지적했다.

민언련은 또 "마산시가 선진 방재시설 벤치마킹을 목적으로 간 시찰에 지역상공인들과 공무원 그리고 기자까지 동행한 이유에 대해서 석연치 않는 부분이 너무 많다"면서 "시는 전액 자비로 취재를 갔다고 하지만, 해외 취재를 다녀온 이후에 항공료를 입금한 경남도민일보와 국제신문을 보면 여론이 부정적으로 흐르자 신문사에서 부랴부랴 입금을 한 것이라 판단된다"고 비꼬았다.

특히, 경남도민일보에 대해서는 "공짜 해외취재 관행을 타파하는데 앞장선다는 공언을 했지만, 이번의 경우 도민들에게 한 약속을 파기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간 지면을 통해 비판적인 시각에서 해외공짜 취재를 보도해 온 도민일보라 더 더욱 충격이라는 것이다.

본지의 '주객이 전도된 일본 방문'에 대해서도 "견학을 하고자 한다면 담당 공무원들이 대거 참가를 시켜야지 아무상관 없는 마산상공 회의소 관계자들이 묻혀서 따라간 것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민언련은 또한 "동행이 필요없는 기자들에게 경비 전액을 부담해 주면서까지 해외 시찰을 함께 떠난 것은 결국은 언론사 기자들을 공범으로 만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고 쏘아붙였다.

민언련은 성명서 말미에 "해외 취재를 다녀온 해당 언론사는 독자들에게 재발방지와 공짜 해외 취재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고 분명한 약속이 있어야 될 줄 믿는다"는 경고의 말을 남겼다.

한편, 마산시의 출입기자 공짜 취재 여행은 지난 10일 <우리신문 인터넷 판>이 최초로 보도했으며, 취재 결과 두 신문사의 기자 여행 경비는 전액 시가 부담한 것으로 확인됐다. 두 신문사는 본지 보도를 인지한 민언련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신문사에서 경비를 지급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방재시설 방문단에 동행했던 도민일보는 일본 현지의 방재 시설과 해일 피해 예방대책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했다.

[다음은 경남민언련 성명서 전문이다]
지역신문 공짜심리 버리고 초심으로 돌아가라 !

마산시가 선진 방재시설 벤치마킹을 목적으로 간 시찰에 지역상공인들과 마산시 집행부 그리고 기자까지 동행한 이유에 대해서 석연치 않는 부분이 너무 많다. 마산시에서는 전액 자비로 취재를 갔다고 하지만, 해외 취재를 다녀온 이후에 항공료를 입금한 경남도민일보와 국제신문을 보면 여론이 부정적으로 흐르자 신문사에서 부랴부랴 입금을 한 것이라 판단된다.

그동안 경남도민일보는 공짜 해외취재 관행을 타파하는데 앞장선다는 공언을 해 왔다. 그러나 이번의 경우는 도민들에게 한 약속을 파기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경남도민일보는 그동안 지면을 통해 비판적인 시각에서 해외공짜 취재를 보도해 오던 터라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견학을 하고자 한다면 담당 공무원들이 대거 참가를 시켜야지 아무상관 없는 마산상공 회의소 관계자들이 묻혀서 따라갔다.

지자체가 동행을 하지 않아도 될 언론사 기자들에게 경비 전액을 부담해 주면서 까지 해외 시찰을 함께 떠난 것이, 결국은 언론사 기자들을 공범으로 만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지방자치단체는 앞으로 지방정부를 감시, 견제하는 언론사 기자들을 더 이상 진흙탕 속에 끌어들이지 말고 투명한 행정을 펼쳐야 할 것이다. 우리는 언론인들의 무분별한 공짜 해외연수 동행은 기관과의 유착을 심화시키는 또 다른 성격의 '뇌물'로 규정한다.

지자체에서 거액을 들여서 항시 언론사 기자를 동행시키는 것은 아무리 공익적 성격의 취재라 할 지라도, 공짜로 따라 나가는 취재에 언론본연의 감시 역할에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공익적 성격의 취재라면 거액을 들여서라도 독자를 위해서 기사화 해야 한다. 비용이 아까워 취재를 못한다면 뉴스가치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본다. 해외취재 보도 기준이 공짜로 가느냐 아니면 자비로 가느냐에 달렸다면 독자들을 우롱하는 일이다. 공짜로 취재가면 보도가 되고 따라가지 않으면 기사화 되지 않는 잘못된 보도 시스템은 언론사가 손가락으로 제 눈을 찌르는 꼴이다.

취재원이 제공하는 사적인 특혜나 편의를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받아들이기에 바쁜 잘못된 관행을 바꾸지 않는 한 공짜 해외취재는 근절하기 힘들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관행의 뿌리는 바로 기자단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백해무익한 기자단의 폐해는 언론개혁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자리잡고 있지만 기득권을 놓지 못하는 이들에게 주어진 행정감시라는 무거운 짐이 안쓰러울 따름이다.

기자단을 중심으로, 돌아가면서 순번제로 공짜해외 취재는 이제 그만 둘 때가 됐다. 일부 언론사는 공짜 해외 취재는 따라가지 않는다는 원칙적인 방침이 서 있고 지켜지고 있다. 차라리 이러한 이웃 언론사를 벤치마킹을 하는 편이 낫다고 본다. 그러나 관행이라는 이유로 잘못된 공짜해외 취재를 근절하지 못하는 것은 언론의 도덕성과 신뢰성을 훼손 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번에 해외 취재를 다녀온 해당 언론사는 독자들에게 재발방지와 공짜 해외 취재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고 분명한 약속이 있어야 될 줄 믿는다.

2006년 2월 14일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 김애리/ 강창덕



김 욱 기자 2006-02-14 (133 호)
kimuk@urinews.com

-
비공개 보도사진 및 취재 후기[김 욱기자 블러그]

김 욱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back

▲ top

전체 기사 의견 보기 기사 의견 쓰기